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복부대동맥류 배 속의 시한폭탄

by 바다를 좋아하는 Diver 2024. 1. 13.
반응형

 동맥류란 동맥의 벽이 어떠한 이유로 인해 약해지면서 동맥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동맥벽이 팽창하는데 이 팽창된 부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동맥류는 주로 가슴대동맥(Thoracic aorta)과 복부대동맥(Abdominal aorta)에서 발생하며 이를 대동맥류(aneurysm)라고 말합니다. 고령자에게 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여성보단 남성에게서 더 나타나며, 동맥의 압력이 센 고혈압환자에게서 더 많이 나타납니다. 이런 대동맥류는 정상 직경보다 50% 이상 확장된 것을 말합니다. 대동맥류가 정말 무서운 이유는 점차적으로 혈관벽이 얇아지고 동맥류의 확장은 진행되어 결국에는 대동맥류 파열(Anuerysm rupture)까지 이르게 됩니다. 대동맥류 파열이 일어나면 사망할 확률이 90% 이상으로 정말 무서운 질환입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이런 대동맥류 중 배 속의 시한폭탄이라고 알려진 복부대동맥류(AAA: Abdominal Aortic Anuerysm)에 대해 알아볼 겁니다.  

복부대동맥류 증상

 우선 복부대동맥류는 파열 시 사망확률이 90%이상이지만 거의 무증상이라는 것이 정말 어려운 점입니다. 아무런 증상 없이 일상생활을 하다가 건강검진이나 CT, MRI, 초음파를 통해 우연히 발견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런 특이점으로 인해 시한폭탄이란 별명이 붙은 것입니다. 하지만 복부대동맥류가 점점 커질수록 복부, 가슴, 허리 등 국소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복부에서 덩어리나 혹이 만져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덩어리나 혹이 점차 커진다거나 박동을 한다면 복부대동맥류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복부대동맥류가 파열된 경우에는 복부와 등 쪽에서 고통이 느껴지며 저혈압이나 쇼크가 오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복부대동맥류가 파열되진 않았으나 계속 팽창하여 복부장기에 압박을 가하면 구토, 복부팽만, 요통 등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복부대동맥류 치료 및 시술방법

 복부대동맥류의 치료는 외과적 수술과 스텐트그라프트(Stent-graft)를 이용한 혈관 내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복부대동맥 스텐트그라프트 시술은 고위험으로 분류된 시술로 시술의의 상당한 숙련도를 요구합니다. 저는 혈관조영실에서 복부대동맥 스텐트그라프트 시술을 어떻게 진행되고 어떤 시술인지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환자를 시술용 침대에 눕힙니다. 초음파를 통해 양쪽 대퇴동맥(Common femoral artery)을 확인한 후 소독합니다. 소독방포로 환자를 덮고 초음파 유도하에 오른쪽 대퇴동맥을 천자합니다. 천자 후 바늘 내경을 따라 wire를 삽입합니다. wire 삽입 후에 바늘을 제거하고 sheath를 삽입합니다. sheath를 따라 주로 Cobra라 불리는 카테터를 삽입합니다. 이번에는 왼쪽 대퇴동맥을 천자하고 똑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돼지꼬리라 불리며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는 Sizing PigTail 카테터를 삽입합니다. 카테터를 삽입했으면 Pigtail 카테터와 조영제를 이용하여 복부대동맥 조영영상을 얻습니다. 조영영상을 통해 대동맥류 부위의 직경, 길이를 측정하여 삽입해야 할 스텐트 그라프트의 직경과 길이를 결정합니다. 또한 조영영상이나 시술 전 미리 찍어놓은 CT영상을 보고 시술의가 판단하여 어느 쪽에 스텐트그라프트의 Main body를 설치할 것인지 판단합니다. 주로 Common iliac artery와 복부대동맥이 만나는 부위의 혈관이 경사가 완만한 부분으로 따라 들어가 main body를 설치합니다. Main body를 삽입할 측의 카테터를 제거하고 wire를 따라 스텐트 그라프트 Main body를 신장동맥(renal artery)을 막지 않도록 바로 밑에서부터 설치하면서 나오게 됩니다. 반대 측 Common iliac artery에는 스텐트 그라프트 Limb를 설치합니다. 스텐트 그라프트 설치완료 후에는 풍선을 통해 스텐트가 완전히 혈관벽이 밀착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후 복부대동맥 조영영상을 촬영하여 스텐트그라프트가 역할을 하는지 대동맥류에 혈류가 누출(leakage)되지 않는지 봅니다. 동맥을 막아주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동맥지혈을 하고 시술을 마칩니다. 이 시술은 복잡한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중간중간 와이어교체를 생략한 면이 있으니 참고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복부대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누출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술 이후에 바깥쪽으로 지속적인 혈류가 관찰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유형이 5가지 있습니다. Type1은 스텐트 그라프트의 근위부 또는 원위부의 혈관벽 간의 혈류가 누출되는 것입니다. Type2는 Collateral branch에서 혈액이 역류되서 들어오는 것입니다. Type3는 Graft 파열 또는 접합부 분리로 인한 누출입니다. Type4는 Graft의 미세구멍을 통한 누출입니다. Type5는 원인불명의 동맥류 확장입니다.

복부대동맥류 원인

 복부대동맥류의 원인은 정확히 어떤것이다라고 특정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많이 주장되는 원인으로는 성별, 나이, 음주, 흡연, 만성고혈압, 죽상경화증, 유전적인 영향이 있습니다. 먼저 여성에 비해 남성이 5~7배 정도 많으며 대부분이 고령자입니다. 흡연자의 경우에도 비흡연자에 비해 5~7배 정도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납니다. 유전적으로도 직계가족이 복부대동맥류가 있었으면 똑같이 나타날 확률이 15% 정도 됩니다. 고혈압 환자는 혈액의 압력 자체가 높기 때문에 혈관벽에 더 많은 압력이 가해지며 혈관벽이 점점 약화되어 대동맥류가 형성되기 쉽습니다. 죽상경화증은 동맥의 혈관벽에 지방침전물이 쌓이는 현상으로 혈관이 좁아지고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