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는 우리가 음식물을 섭취했을 때 음식물이 함유하고 있는 영양분들을 체내로 흡수할 수 있게끔 분해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식도는 인두(Pharynx)부터 위(stomach)까지 수축과 이완을 통해서 음식물을 위까지 이동시켜 주는 소화기관입니다. 이번에는 식도 스텐트 설치술(esophageal stent insertion), 식도 풍선 확장술(esophageal balloon dilatation)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식도 풍선 확장술
식도 풍선 확장술은 식도 궤양, 식도염 등에 의해 식도가 협착된 환자를 대상으로 협착부위를 balloon으로 확장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술 전 금식을 하여야 하며 필요시에는 진통제를 투여해야 합니다. 시술방법은 환자를 시술 침대에 supine position(똑바로 누운 자세)으로 눕힙니다. 환자 입을 통해 리도카인(국소마취제)을 뿌려 마취를 진행하고 chest AP영상을 찍어서 시술 전 사진을 남겨놓습니다. 환자의 구강을 통하여 guide wire를 삽입하는데 삽입 전 C-arm을 LAO position(20~30도)으로 돌립니다. LAO position으로 위치시키는 이유는 식도와 기도를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 guide wire가 기도를 통해서 넘어가면 안 되기 때문입니다. LAO position으로 guide wire가 식도로 들어가기 전까지 유지합니다. 식도로 들어갔으면 C-arm을 true AP position으로 정렬시킨 후 guide wire를 따라 catheter를 삽입합니다. 주로 kumpe catheter를 사용합니다. kumpe catheter를 식도 협착부보다 위쪽(proximal stenosis)에 위치시킵니다. roadmap이란 c-arm 기능을 사용하여 조영제 주입과 동시에 x-ray를 이용하여 조영제 주입영상을 얻습니다. 조영제 주입영상을 통해 협착부의 크기와 길이를 측정(measure)합니다. 측정값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balloon catheter를 시술의가 판단하여 사용합니다. kumpe catheter를 제거한 후 balloon catheter를 협착부에 삽입한 다음 ballooning을 하여 협착부를 넓혀줍니다. 시술의의 판단에 따라 ballooning을 몇 분씩 몇 번 진행할지 결정하고 치료를 마친 후 다시 조영영상을 얻어 협착부가 넓혀졌는지 파악합니다. 치료가 잘되었으면 삽입기구를 제거하고 마무리합니다.
식도 스텐트 설치술
대부분의 식도암(esophageal cancer) 환자들은 식도가 협착되었을때 연하곤란을 동반하여 발생하며 이는 체중감소를 유발합니다. 식도암으로 인한 연하곤란은 식도의 전체를 절제하거나 식도암 부분만 절제하는 수술이 있지만 대부분의 식도암 환자들에게 권하지 않습니다. 이 외에도 우회술(bypass), 방사선치료(radiation therapy) 등이 있지만 부작용으로 인해 사망률이 높고 호전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권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혈관조영실에서 시행할 수 있는 식도 스텐트 설치술은 식도암에 의한 연하곤란을 보통 30분~1시간 정도로 간단하고 빠르게 치료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스텐트를 이용하면 외과적 절제가 필요 없고 식도를 유지한 채 협착부위만을 넓히는 것이기 때문에 상당한 이점이 있는 시술입니다.
식도암에 의해 협착이 진행되었거나 식도 게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식도 풍선 확장술을 진행했으나 지속적으로 협착이 발생하는 경우 스텐트 설치술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시술방법은 앞선 식도 풍선 확장술과 guide wire 삽입까지 일련의 과정이 동일합니다. guide wire를 따라 catheter를 삽입하는데 이번에 삽입하는 것은 sizing catheter입니다. sizing catheter를 삽입하고 조영제를 주입시킴과 동시에 x-ray를 이용하여 조영영상을 얻습니다. 조영영상에서 sizing catheter는 size를 측정할 수 있게 radiomarker가 되어있기 때문에 협착부위의 size를 marker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size를 측정한 후 협착부위의 크기와 길이를 측정하여 그에 맞는 스텐트를 시술의가 결정합니다. catheter를 제거하고 guide wire를 따라 협착중앙 부위에 스텐트삽입관을 위치시키고 실시간 투시영상을 통해 스텐트를 천천히 설치합니다. 설치 완료 후 식도조영술을 다시 시행하여 식도의 개통성을 확인합니다. 치료가 잘 되었으면 시술기구들을 제거하고 시술을 마칩니다.
식도는 막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은 장기입니다. 따라서 손상되기도 쉽고 혈액공급도 잘 되지 않습니다. 또한 음식물이 지나다니는 통로기 때문에 신체 내부입장에서 식도내부는 이물질이며 오염된 물질이 위치한 곳입니다. 이런 식도가 파열되면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시술 후에도 지속적으로 추적검사를 하여야 합니다. 추적검사는 5일, 1개월, 6개월로 보통 진행이 되지만 시술의가 협착의 정도에 따라 판단하여 정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동맥 색전술 출산 후 출혈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4.01.24 |
---|---|
PCN 경피적 신루술 A to Z (2) | 2024.01.24 |
Ascites 복수 배액술 A to Z (0) | 2024.01.21 |
Pleural effusion 흉수 배액술 A to Z (0) | 2024.01.20 |
동정맥기형 AVM 시술 A to Z (0) | 2024.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