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Pleural effusion 흉수 배액술 A to Z

by 바다를 좋아하는 Diver 2024. 1. 20.
반응형

우리 몸을 괴롭히는 Pleural effusion(흉수)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혈관조영실에 오는 30~40%의 환자들이 받는 치료가 PCD(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경피적 카테터 배액술)라고 하는데요. 이 PCD는 복수(Ascites), 액체가 고인 fluid collection, 흉수를 카테터를 통해 배액해내는 배액술입니다. 이 중 흉수에 관해 자세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흉수의 정의부터 발생하는 원인, 증상, 치료방법까지 한번에 이해해봅시다.

흉수의 정의

흉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흉막강 내에 비정상적으로 액체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고여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흉막강은 벽측 흉막과 장측 흉막 사이에 있는 매우 좁은 공간입니다. 이 흉막강에는 0.2mL/Kg으로 보통의 성인은 10mL 내외로 흉수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흉수는 우리가 호흡을 할 때 폐의 확장과 축소의 반복을 부드럽게 도와주는 윤활액 역할을 합니다. 

흉수의 원인

흉수는 유입과 배출의 균형이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하게 됩니다. 모세혈관의 삼투압과 정수압을 통해 흉막강으로 액체가 들어오게 되고, 림프관을 통해 흉막강의 액체를 배출하면서 균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모세혈관을 통한 흉막강 액체 유입이 정상보다 많이 유입이 되거나, 림프관의 문제로 인해 배출기능장애가 생겨 액체가 배출되지 않으면 흉수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흉수는 발생원인에 따라 누출 또는 여출성 흉수와 삼출성 흉수로 나뉩니다. 누출성, 여출성 흉수는 심부전증(Cardiac Failure), 신부전증(Renal Failure), 간경변증(Liver cirrhosis) 등으로 인해 모세혈관의 정수압, 삼투압에 문제가 발생하여 생기게 됩니다. 삼출성 흉수는 흉막 모세혈관의 문제가 발생하여 악성 종양, 폐렴, 결핵이 동반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이렇게 다양한 원인에 의해 흉수가 발생할 수 있으나 악성종양, 즉 암이 그중에서 가장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납니다. 그 중에서도 폐암과의 연관성이 가장 높습니다. 암세포가 흉막에 전이가 되면 염증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삼투압과 정수압에 문제가 생겨 흉막강 내 액체 유입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림프기계 배출에도 기능장애를 일으켜 배출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흉수 증상

흉수는 흉막강에 비정상적으로 액체가 차기 때문에 폐가 위치한 공간이 좁아지게 됩니다. 폐의 확장을 방해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호흡을 하기가 힘들어 호흡곤란을 유발합니다. 또한 대표적 증상으로 흉통이 발생하게 되는데 많은 환자들이 표현하길 칼로 찌르는 듯한 아픔이 전해진다고 할 정도로 매우 극심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그 외에는 기침, 발열과 같은 증상들이 있습니다.

흉수 진단 및 치료방법

흉수는 일반적으로 x-ray를 통해 쉽게 확인이 가능하며, 초음파 또는 CT 등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흉수 치료는 앞서말한 누출성이냐 삼출성이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환자의 증상을 통해서 알거나 흉강천자를 통해 흉수를 채취해 누출성인지 삼출성인지 판단을 하게 됩니다. 흉강천자의 이점은 흉수를 얻음과 동시에 배액치료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누출성 흉수인 경우 심부전, 신부전, 간경변증 등이 원인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치료가 먼저 선행되어야 합니다. 이미 흉수가 많아 흉통이나 호흡곤란과 같은 증상이 동반될 시에는 경피적 카테터 배액술과 같은 치료적 배액을 통해 먼저 증상을 완화시킨 후 기저질환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삼출성 흉수는 각 원인에 맞춰 치료를 진행해야합니다. 증상이 심하면 치료적 배액술을 진행하며 폐렴의 경우 항생제 치료를, 악성 종양이 원인이면 그 악성 종양에 대한 치료가 선행됩니다.

흉수 배액술 시술방법

흉수로 인한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경피적 카테터 배액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전체적인 시술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환자를 시술침대에 눕힙니다. 시술부위가 Right인지 Left인지 확인하고 초음파를 통해 Right일 시 간 위쪽으로 Left일 시 비장 위쪽으로 흉수의 양과 위치를 파악합니다. 흉수가 많은쪽에 표시를 해두고 표시 부위 근처로 소독을 진행합니다. 소독방포로 환자를 덮습니다. 시술의가 초음파를 통해 천자할 부위에 리도카인으로 국소마취를 합니다. 천자바늘로 시술부위를 천자하고 바늘 내경을 통해 hair wire를 삽입합니다. x-ray를 통한 투시영상으로 wire가 잘 진입되었는지 확인하고 천자바늘을 제거한 후 sheath로 교체해줍니다. sheath 교체 후 hair wire를 더 굵은 35 wire로 교체합니다. 환자의 흉수 양에 따라 카테터의 종류를 선택하게 되는데 보통 구멍(hole) 갯수가 많은 BSL catheter를 사용합니다. 시술의의 판단을 통해 카테터를 선택하면 catheter를 35 wire를 따라 삽입합니다. x-ray 투시영상으로 삽입위치를 확인하고 흉수가 나오는지 syringe를 통해 확인한 후 bile bag을 연결해주고 시술을 마치게됩니다. 

 

흉수 배액술은 시술의의 숙련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5분에서 10분 내외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많은 환자들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흉수가 발생되고 이로인해 고통을 겪고있는데 흉수에 대해 정확히 알아보고 배액술을 통해 조금이라도 편해졌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