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케모포트(chemoport) 정의부터 시술방법까지 A to Z

by 바다를 좋아하는 Diver 2024. 1. 9.
반응형

케모포트(chemoport)

케모포트는 Internal jugular vein이라고 불리는 속목정맥에 관(catheter)을 삽입하고 쇄골(clavicle) 아래 4cm 지점 피하에 포트(port)를 위치시켜 두개를 연결시킨 장치를 말한다. 케모포트의 주 목적은 반복적으로 항암제를 맞기 위해 정맥을 통해 심장 근처에 관을 삽입하는 것입니다.
 

케모포트(chemoport)의 장단점

몸 밖으로 나와 있는 관이 없고 500원짜리 크기정도만 튀어나온 정도로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감이 없고 병력노출이 되지않아 미용적인 효과도 있습니다. 혈관에 주사를 주기적으로 맞거나 채혈을 자주 하다보면 점차 혈관이 없어져 찾기가 어려워집니다. 혈관 확보가 힘들어질수록 실패확률도 늘어나며 환자는 그만큼 통증이 수반됩니다. 하지만 케모포트를 삽입하면 이 포트를 통해 주사를 쉽게 놓을 수 있습니다. 케모포트 자체는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관리만 잘해주어도 안전하게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며, 흉터가 남는 것입니다.

케모포트(chemoport) 시술방법

환자는 병동에서 눕는 차(스트레쳐 카)를 타고 이동하여 혈관조영실에 도착합니다. 환자를 시술용 침대에 눕힙니다. 속목정맥(internal jugular vein)을 통해 시술이 진행됩니다. 환자를 멸균포로 덮기 전에 초음파를 통해 속목정맥의 협착유무, 혈전유무 등을 확인합니다. 보통은 오른쪽 속목정맥을 이용하여 포트를 삽입하지만, 협착이나 혈전, 오른쪽 혈관보호 등의 이유로 사용하지 못한다면 왼쪽을 사용하게 됩니다. 많이 시행하진 않지만 양쪽 속목정맥이 사용불가능한 경우 대퇴정맥(femoral vein)에 chemoport를 삽입하기도 합니다. 초음파를 통해 확인하였다면 무균적으로 시술을 진행하기위해 시술부위를 소독하고 멸균포로 환자를 덮습니다.  먼저 리도카인을 통해 국소마취를 진행합니다. 초음파를 통해 Mini pucnture라는 바늘로 속목정맥을 천자합니다. 천자한 바늘의 관 안쪽으로 가느다란 실(guide wire)을 하대정맥(inferior venacava)까지 위치시킵니다. 그 다음 환자의 쇄골(clavicle)아래쪽 4cm지점 즘을 절개하여 포트가 들어갈 주머니(포켓)을 만듭니다. 카테터를 만들어논 포켓을 통해 천자부위 쪽으로 터널을 만듭니다. 그 다음 x-ray를 이용하여 catheter tip이 위치할 곳에 맞춰 길이를 재고 catheter를 자른 뒤 peel away sheath란 걸 가느다란 실(guide wire)을 따라 삽입합니다. 카테터의 길이는 상대정맥(superior venacava)과 우심방(Right Atrium)쪽에 tip을 위치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peel away sheath가 다 들어가면 sheath의 내경 안쪽으로 카테터를 넣어주고 peel away sheath를 찢습니다. x-ray를 통해 케모포트가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고 피부절개부위를 봉합한 후 마무리합니다. 이 일련의 과정을 시술의에 따라다르겠지만 빠르면 5분 ~ 늦어도 20분 안에는 보통 끝납니다.

케모포트(chemoport)시술 후 관리

케모포트(chemoport)시술 후 시술부위는 출혈 예방을 위해 모래주머니를 2시간 가량 올려놓아야합니다. catheter tip과 port의 위치를 확인하고 기흉 등 부작용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해 흉부 x-ray를 촬영합니다. 이후 실밥을 제거하기 전에는 매일 소독해야하며 시술부위는 물에 닿지 않게 해야 합니다. 방수밴드를 붙인 상태에서 샤워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술 후 약 2주 째에는 실밥을 제거하는 데 이 시점 이후에는 샤워와 목욕, 수영을 해도 무방합니다. 포트는 피부 밑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어 거의 빠지지않지만 케모포트가 삽입된 측의 팔을 과격하게 사용하는 운동은 삼가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정기적 항암스케쥴이 종료되거나 장기간 사용하지 않지만 유지하기를 원한다면 매달 한번씩 헤파린(항응고제) 주입으로 관리해주어야 합니다. 케모포트(chemoport)를 소독하는 방법은 우선 최대한 감염이 안되게 손과 팔꿈치까지 비누를 사용하여 깨끗히 씻습니다. 소독 부위의 기존 밴드를 제거한 후 포비돈(소독약)을 이용하여 부위가 충분히 포함되게 닦아냅니다. 포비돈이 완전히 마르면 메딕스라 불리는 밴드와 거즈를 사용하여 붙여줍니다.

케모포트(chemoport) 제거

항암치료가 끝나거나 케모포트(chemoport)가 막히거나 이상이 있을 때 제거합니다. 카테터가 막히면 역류(regurge)가 안되거나 약물 주입 시 안들어가거나 심한 저항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제거방법은 국소마취를 한 후 시술 부위를 절개합니다. 시술 부위를 벌려 포트를 찾은 후 suture부분을 제거한 후 부드럽게 당겨 카테터까지 빼줍니다. 다 제거한 후 suture해서 마무리합니다.

케모포트(chemoport) 부작용

부작용으로는 삽입부위가 빨갛게 부어오르거나, 통증이 느껴질때, 고름, 진물 등 분비물이 생길 때, 냄새가 날 때,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 삽입부위 측의 어깨나 팔 저림이나 붓는 경우가 모두 해당됩니다. 또한 혈종(hematoma), 공기 색전증,  쇄골정맥 혈전, 카테터 이탈, 기흉(pnumothorax) 등이 있습니다. 

케모포트(chemoport)시술관련 유의사항

케모포트는 중심정맥관에 속하는데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 CVC) 카테터의 tip은 SVC-RA(superiorvenacava-right artrium) 이행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SVC-RA 이행부보다 짧아 카테터의 tip이 SVC의 한쪽 벽에 닿으면 catheter의 tip쪽 부근에 혈전이나 협착 등이 생길 가능성이 커지며 catheter가 기능을 잘 못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catheter가 너무 길면 심장을 자극하기에 적절히 위치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x-ray를 이용한 투시영상에서 이행부의 위치는 기관분기부(carina)에서 척추체(vertebral body) 2개정도 아래라 생각하면 됩니다.

반응형